HTTP/1.1 프로토콜

HTTP 메서드 / HTTP 상태 코드 / 요청 및 응답 Body
Sep 01, 2024
HTTP/1.1 프로토콜

RFC 7231 (HTTP/1.1 프로토콜)

 
RFC 7231 은 HTTP/1.1 의 사양을 정의하는 문서로, HTTP/1.1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메서드, 상태 코드, 그리고 헤더 필드와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여 웹 통신의 동작 방식을 규명한다.
문자 하나를 8비트(1바이트)로 표현하여 통신하는데, ex. 숫자 1 이 "도서관 문 닫으세요" 라는 의미를 가지도록 약속을 정하여 통신하는 방식을 프로토콜이라 한다. 수고로움을 엄청나게 덜어준다. ^^
네트워크 프로토콜이 다 다를 텐데, 프로토콜 협의(서로 동등한 관계이기 때문에 협의)를 통해 성장해왔다. 최초의 프로토콜은 GET 밖에 없었으나, 계속 성장해 온 것처럼.
이제 생겨나는 것들도 정해진 RFC 7231 에 맞춰야 할 것.
 

HTTP 메서드

 
POST / PUT / PATCH ⇒ body 사용
GET / DELETE ⇒ body 없음, body 사용 못함
 

HTTP 상태 코드

 
1xx (Informational): 요청이 수신되었으며 처리가 진행 중
2xx (Successful)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
  • 200 OK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됨
  • 201 Created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고,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됨
3xx (Redirection): 요청이 다른 위치로 이동해야 함을 나타냄
  • 301 Moved Permanently: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다른 URL로 이동됨
  • 302 Found: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다른 URL로 이동됨
4xx (Client Error):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오류가 있음
  • 400 Bad Request: 잘못된 요청
  • 404 Not Found: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
5xx (Server Error):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도중 오류가 발생했음
  • 500 Internal Server Error: 서버 내부에서 오류가 발생함
  • 503 Service Unavailable: 서비스가 현재 사용 불가능함

요청 및 응답 본문

 
Request Body: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데이터(예: 폼 데이터, JSON, XML 등).
Response Body: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보내는 데이터.
 
F12 네트워크에서 확인 가능(전송되는 데이터의 실제 내용 payload=data body)
Share article

eunmouse